추진 배경 |
▪ 수도권·대도시가 아닌 지역은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진료를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실
|
|||||||||||||||||
지역책임의료기관 |
||||||||||||||||||
충북 진료권 현황 |
▪충북 중진료권 구분 충북은 청주권, 충주권, 제천권 3개의 진료권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, 이 중 청주권의 경우 청주시와 인접한 청주시, 증평군, 진천군(중부권), 청주권 내에서도 청주시와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남부지역인 보은군, 옥천군, 영동군(남부권)으로 구분할 수 있음.
▪ 충북 필수의료분야의 지역 간 격차 심화 지속 도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 핵심지표 선정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필요 ▪ 전반적인 필수의료 분야의 낮은 건강수준 (필수의료분야 사망률) 충북은 필수의료 관련 건강지표가 전반적으로 좋지 못해 전국 17개 시・도 중 하위권에 속한 지표들이 많으며 필수의료 관련 질환과 관련된 치료가능사망률, 암 사망률 등은 전국 대비 좋지 못한 건강결과를 보이고 있음. ▪ 충북은 필수의료 전반적인 영역에서 전국 평균 대비 낮은 관내의료이용률(RI)을 보임. 충북은 치매(외래), 전문재활(외래)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전국 평균 대비 낮은 관내의료이용률을 보임. ▪ 치료가능사망률-OECD 기준 2022년 기준 충북의 치료가능사망률은 52.92명으로 전국 1위(전국 평균 46.21명)로 17개의 시·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* 치료가능 사망률이란, 의학적 지식의 개입이나 의료서비스 자체의 효과가 비교적 명확한 경우만을 ‘치료를 통해 피할 수 있는 사망률(Amenable mortality)’로 정의함. 보건복지부,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|
|||||||||||||||||